"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새 문서: ==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 == {{List type hollow square|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표지_19107_2.png|가운데|354x354픽셀]] | |||
==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 == | ==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 == | ||
{{List type hollow square| | {{List type hollow square| |
2022년 3월 15일 (화) 11:19 기준 최신판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
-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기술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벡터기하 및 위상은 최대 4차원이며, 최대 3개의 축(x,y,z)으로 구성되는 좌표 공간의 공간 객체의 연산(접근, 질의, 관리, 처리, 데이터 교환 등)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방식은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UML을 사용한다.
- (표준의 목적) 2차원, 3차원 지리·지형지물의 공간특성과 공간연산을 표준화함으로써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준이다.
- (표준의 내용) UML 2를 사용하여 지리·지형지물의 공간특성 개념 스키마와 최대 3차원의 벡터 기하와 위상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공간 연산을 규정한다.
-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 (표준의 적용 방법)
- 참조 모델은 공간정보 표준의 통일된 기초 개념이므로, 비전문가에게 표준을 교육하고 설명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개념적 모델링 시 부속서 E를 참고하여 표준화된 실세계 추상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 (관련 표준화 성과물)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은 사업담당자가 ‘데이터 모델 설계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한다면, 표준을 적용하여 작성 후 제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