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D"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새 문서: LoD는 Level of Detail의 약자로써, 공간객체의 표현 상세수준을 의미한다. LoD의 구분은 기존의 OGC 국제 표준 CityGML 2.0에 의존하고 있다. 다만, C...)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 LoD4는 공간객체의 실내 구조를 표현된다.
* LoD4는 공간객체의 실내 구조를 표현된다.


[[파일:LoD 그림1.png|OGC CityGML 2.0의 LoD 개념]]
[[파일:LoD 그림1.png|OGC CityGML 2.0의 LoD 개념|center]]


CityGML 2.0의 LoD구분은 LoD별로 표현 가능한 기하정보가 유연하지 않고 고정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실내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LoD4의 수준에서만 표현이 가능하며, LoD1은 고정된 높이의 입체 블록형태 이외의 구조로는 표현이 불가능하다.  
CityGML 2.0의 LoD구분은 LoD별로 표현 가능한 기하정보가 유연하지 않고 고정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실내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LoD4의 수준에서만 표현이 가능하며, LoD1은 고정된 높이의 입체 블록형태 이외의 구조로는 표현이 불가능하다.  
17번째 줄: 17번째 줄:
* LoD0은 수직 이외의 평면 데이터를 모두 표현된다. (각 층의 실내 평면도 등 표현 가능)
* LoD0은 수직 이외의 평면 데이터를 모두 표현된다. (각 층의 실내 평면도 등 표현 가능)
* LoD1은 공간객체의 부분 높이를 표현가능한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 LoD1은 공간객체의 부분 높이를 표현가능한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 LoD2는 공간객체의 실내구조와 지붕 등 요철을 반녕한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 LoD2는 공간객체의 실내구조와 지붕 등 요철을 반영한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 LoD3은 공간객체의 외부 표현을 실세계에 근사한 텍스처를 입힌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 LoD3은 공간객체의 외부 표현을 실세계에 근사한 텍스처를 입힌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파일:LoD 그림2.png|OGC CityGML 3.0의 LoD 개념]]
[[파일:LoD 그림2.png|OGC CityGML 3.0의 LoD 개념|center]]


CityGML 3.0의 LoD구분은 LoD별로 표현 가능한 기하정보가 유연하여 고정적이지 않아 다중표현이 가능하다.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CityGML 3.0의 LoD구분은 LoD별로 표현 가능한 기하정보가 유연하여 고정적이지 않아 다중표현이 가능하다.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29번째 줄: 29번째 줄: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표준은 CityGML 3.0을 반영하여 기하정보의 다중표현을 지원한다. LoD 별 공간객체 유형에 따른 다중표현 지원내용을 다음에서 확인 가능하다.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표준은 CityGML 3.0을 반영하여 기하정보의 다중표현을 지원한다. LoD 별 공간객체 유형에 따른 다중표현 지원내용을 다음에서 확인 가능하다.


[[파일:LoD 그림3.png|LoD의 Multiple Layer 2D 표현 방법]]
[[파일:LoD 그림3.png|LoD의 Multiple Layer 2D 표현 방법|center]]


개선된 LoD 0에서는 위 그림과 같이 각 층에 따라 세부적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2D 다중 레이어 표현이 가능해졌다. 기존 LoD0에서는 면 타입으로 국한되었던 지형지물 유형이 개선된 LoD0에서는 점, 선, 면과 같은 모든 지형지물 유형을 적용 가능하다.  
개선된 LoD 0에서는 위 그림과 같이 각 층에 따라 세부적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2D 다중 레이어 표현이 가능해졌다. 기존 LoD0에서는 면 타입으로 국한되었던 지형지물 유형이 개선된 LoD0에서는 점, 선, 면과 같은 모든 지형지물 유형을 적용 가능하다.  
   
   
[[파일:LoD 그림4.png|LoD1의 수직 확장 표현 방법]]
[[파일:LoD 그림4.png|LoD1의 수직 확장 표현 방법|center]]


또한, 위 그림과 같이 LoD1은 이러한 LoD0의 2D에 대해 고유 높이를 부여하여 수직 확장한 개념이다(LoD0은 LoD1을 평면 투영한 개념이다).
또한, 위 그림과 같이 LoD1은 이러한 LoD0의 2D에 대해 고유 높이를 부여하여 수직 확장한 개념이다(LoD0은 LoD1을 평면 투영한 개념이다).

2022년 1월 10일 (월) 16:31 기준 최신판

LoD는 Level of Detail의 약자로써, 공간객체의 표현 상세수준을 의미한다. LoD의 구분은 기존의 OGC 국제 표준 CityGML 2.0에 의존하고 있다. 다만, CityGML 3.0에서의 LoD의 구분이 이와 상이하다. 각 버전의 LoD 요약내용은 아래와 같다.

1 CityGML 2.0 LoD 구분

CityGML 2.0의 LoD 구분은 LoD0부터 LoD4까지 5가지 단계로 구분한다. LoD별 표현되는 공간객체 사상은 아래와 같다.

  • LoD0은 공간객체가 2차원 면데이터로 표현된다.
  • LoD1은 공간객체가 높이값을 갖는 3차원 입체데이터로 표현된다.
  • LoD2는 공간객체의 지붕과 같은 요철을 반영하여 표현된다.
  • LoD3은 공간객체의 창문, 문과 같은 외부 텍스처를 반영하여 표현된다.
  • LoD4는 공간객체의 실내 구조를 표현된다.
OGC CityGML 2.0의 LoD 개념

CityGML 2.0의 LoD구분은 LoD별로 표현 가능한 기하정보가 유연하지 않고 고정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실내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LoD4의 수준에서만 표현이 가능하며, LoD1은 고정된 높이의 입체 블록형태 이외의 구조로는 표현이 불가능하다.

2 CityGML 3.0 LoD 구분

CityGML 3.0의 LoD 구분은 LoD0부터 LoD3까지 4가지 단계로 구분한다. LoD별 표현되는 공간객체 사상은 아래와 같다.

  • LoD0은 수직 이외의 평면 데이터를 모두 표현된다. (각 층의 실내 평면도 등 표현 가능)
  • LoD1은 공간객체의 부분 높이를 표현가능한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 LoD2는 공간객체의 실내구조와 지붕 등 요철을 반영한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 LoD3은 공간객체의 외부 표현을 실세계에 근사한 텍스처를 입힌 입체 구조로 표현된다.
OGC CityGML 3.0의 LoD 개념

CityGML 3.0의 LoD구분은 LoD별로 표현 가능한 기하정보가 유연하여 고정적이지 않아 다중표현이 가능하다.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모든 LoD에서 실내 표현(room)이 가능하다.
  • 모든 LoD에서 문/창문과 같은 오프닝 객체를 표현 가능하다.
  • 모든 LoD에서 실내/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표준은 CityGML 3.0을 반영하여 기하정보의 다중표현을 지원한다. LoD 별 공간객체 유형에 따른 다중표현 지원내용을 다음에서 확인 가능하다.

LoD의 Multiple Layer 2D 표현 방법

개선된 LoD 0에서는 위 그림과 같이 각 층에 따라 세부적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2D 다중 레이어 표현이 가능해졌다. 기존 LoD0에서는 면 타입으로 국한되었던 지형지물 유형이 개선된 LoD0에서는 점, 선, 면과 같은 모든 지형지물 유형을 적용 가능하다.

LoD1의 수직 확장 표현 방법

또한, 위 그림과 같이 LoD1은 이러한 LoD0의 2D에 대해 고유 높이를 부여하여 수직 확장한 개념이다(LoD0은 LoD1을 평면 투영한 개념이다).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데이터의 LoD 중 LoD2와 LoD3은 다음과 같이 차이점이 존재한다.

  • LoD3은 지붕 모양, 지붕 돌출부, 덮개/굴뚝의 표현이 가능하나, 다중 표면을 통한 지붕 표현은 지붕 돌출부로 제한한다.
  • LoD3은 표면/다중 표면을 통해서만 건물의 외관을 표현할 수 있으나, LoD4는 다중 곡선을 통해 LoD3에서 표현하지 못 하는 상세한 건물 외관을 표현한다.
  • LoD3은 문/창문을 표면을 통해 단순한 형상으로만 표현 가능하나, LoD4는 다중 표면을 통해 LoD3보다 상세한 수준으로 문/창문을 표현한다.
  • LoD3의 실내 공간은 천장/지붕 모양까지만 표현 가능하나, LoD4는 천장/지붕 모양 외 복잡한 형상을 가진 실내 공간을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