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윈국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디지털 트윈 개요 = | = 디지털 트윈 개요 = | ||
{{List type hollow square| | {{List type hollow square| | ||
*'''(정의)''' 디지털 트윈은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공통된 특징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은 물리 공간의 대상을 디지털 공간 상에 동일하게 구축하여 다영한 ICT 기술을 통해 물리공간의 대상과 디지털 공간상의 대상을 연결하여, 물리 공간의 대상을 모니터링, 분석, 시뮬레이션 또는 예측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ref>정의하는 문헌에 따라, 디지털 트윈은 설명된 개념(Concept), 설명된 개념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Technology), 설명된 개념을 바탕으로 구현된 시스템(Implementation), 또는 이들에 기반한 다양한 응용(Application)으로 언급되기도 하며, 보다 좁은 범위에서는 디지털 공간에 구축된 물리 공간의 복제품으로 정의되기도 한다.</ref> | *'''(정의)''' 디지털 트윈은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공통된 특징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은 물리 공간의 대상을 디지털 공간 상에 동일하게 구축하여 다영한 ICT 기술을 통해 물리공간의 대상과 디지털 공간상의 대상을 연결하여, 물리 공간의 대상을 모니터링, 분석, 시뮬레이션 또는 예측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ref>정의하는 문헌에 따라, 디지털 트윈은 설명된 개념(Concept), 설명된 개념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Technology), 설명된 개념을 바탕으로 구현된 시스템(Implementation), 또는 이들에 기반한 다양한 응용(Application)으로 언급되기도 하며, 보다 좁은 범위에서는 디지털 공간에 구축된 물리 공간의 복제품으로 정의되기도 한다.</ref> |
2022년 2월 10일 (목) 18:30 판
본 ‘디지털 트윈국토’ 문서의 기본 내용은 표준과 동일하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준원문의 문장과 구성을 변경하여 기술했다. 요약 및 생략된 부분은 표준원문을 참조하여야 한다. 참조 대상 표준은 아래와 같다.
표준의 원문은 국가공간정보포털 혹은 공간정보표준 통합지원시스템에서 볼 수 있으며 열람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열람 방법) 공간정보표준 통합지원시스템 접속 > 회원가입 > 로그인 > 공간정보표준 탭 > 표준검색
- (열람 방법) 국가공간정보포털 접속 > 지식공간 탭 > 공간정보표준 > KSDI표준체계 > KSDI 표준 리스트 > 표준검색
표준은 한국표준정보망에서 구입 가능하며 방법은 아래와 같다.
- (구매 방법) 한국표준정보망 접속 > KS·단체표준 탭 > 표준검색
1 디지털 트윈 개요
- (정의) 디지털 트윈은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된다. 공통된 특징에 따르면 디지털 트윈은 물리 공간의 대상을 디지털 공간 상에 동일하게 구축하여 다영한 ICT 기술을 통해 물리공간의 대상과 디지털 공간상의 대상을 연결하여, 물리 공간의 대상을 모니터링, 분석, 시뮬레이션 또는 예측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1]
- (구축 목적) 이러한 디지털 트윈은 궁극적으로 물리 공간의 다양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구축 목적이다.
- (핵심 구성요소)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고 활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다.
- 구현물 : 실제 물리 공간의 대상과 동일하게 구축되는 디지털 공간상의 객체를 말한다.
- 연결 : 연결은 구현물과 실제 물리 공간상의 대상과의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 기능 : 구현물을 바탕으로 연결된 정보를 활용하여 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등의 디지털 트윈 핵심 기능을 말한다.
- (고려사항) 디지털 트윈은 그 목적에 맞게 물리 공간의 대상의 특징과 문제 해결을 위한 요구사항 등을 반영하여 구축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한다면, 디지털 트윈은 물리 공간의 대상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의 연계를 위해서는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2 디지털 트윈국토 개요
- (정의) 디지털 트윈 국토는 우리나라 국토 및 지형지물의 물리 공간(국토)를 디지털 공간에 구축하고, I.o.T 등의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현실 물리 공간의 지형지물과 연결하는 개념 또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 (구축 목적) 디지털 트윈국토의 구축 목적은 ‘1.1 디지털트윈’의 구축 목적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국토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핵심 구성요소) 디지털 트윈국토를 구현하고 활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개념적 핵심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 구현물 : 디지털 공간 상의 우리나라 국토 및 지형지물(객체)들
- 연결 : 우리나라 국토의 실제 국토 및 지형지물과 디지털 공간 상의 국토 및 지형지물 과의 연결
- 기능 : 디지털 공간 상의 국토 및 지형지물을 이용한 실제 지형지물의 모티너링, 분석, 시뮬레이션 등의 기능
3 디지털 트윈국토 구현 대상 종류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지털 트윈국토에서 디지털 공간상의 구현물은 핵심 구성요소이다. 구현물은 실제 물리 공간상의 지형지물을 대상으로 하며, 그 대상은 아래와 같이 다양하다. 구현 대상은 목적과 범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호운용성을 위하여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구현해야한다. 각 구현 대상의 구축과 활용을 위하여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을 참조하여 구축할 수 있다.
-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국토 위에 지어진 인공 구조물인 건물은 바람길 분석, 일조권 분석 등 다양한 분석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할 지형지물이다.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표준을 참조해야 한다. 참조 대상 표준은 아래와 같다.
- (디지털 트윈국토 지형) 국토의 생김새 및 지표 상의 형태인 지형은 수계 분석, 지하수위 분석 등 분석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할 지형지물이다. 디지털 트윈국토 지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표준을 참조해야 한다. 참조 대상 표준은 재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업데이트 예정이다.(2022년 현재 기준)
- (디지털 트윈국토 교통시설물) 도로, 다리, 터널과 같은 교통실설물은 교통량 분석과 관리, 교통신호 체계, 교통 사고 관리 등 다양한 분석을 위해 구현되어야할 지형지물이다. 디지털 트윈국토 교통시설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표준을 참조해야 한다. 참조 대상 표준은 재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업데이터 예정이다.(2022년 현재 기준)
- (디지털 트윈국토 지하시설물) 상수도, 하수도, 전력시설 등과 같은 지하시설물은 도시 홍수 분석, 자원관리 등을 위해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할 지형지물이다. 디지털 트윈국토 지하시설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표준을 참조해야 한다. 참조 대상 표준은 재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업데이트 예정이다.(2022년 현재 기준)
- ↑ 정의하는 문헌에 따라, 디지털 트윈은 설명된 개념(Concept), 설명된 개념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Technology), 설명된 개념을 바탕으로 구현된 시스템(Implementation), 또는 이들에 기반한 다양한 응용(Application)으로 언급되기도 하며, 보다 좁은 범위에서는 디지털 공간에 구축된 물리 공간의 복제품으로 정의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