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잔글
37번째 줄: 37번째 줄:


[http://gsqm.lx.or.kr 공간정보표준 통합지원시스템 바로가기]
[http://gsqm.lx.or.kr 공간정보표준 통합지원시스템 바로가기]
 
[[파일:디지털_트윈국토_따라하기1.png|가운데|1174x1174픽셀]]
[[파일:디지털 트윈국토 따라하기1.png]]
[[파일:도움말1.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도움말1.png]]


⓶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표준 열람하기
⓶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표준 열람하기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2741 국가공간정보포털 바로가기]
[http://www.nsdi.go.kr/lxportal/?menuno=2741 국가공간정보포털 바로가기]
 
[[파일:디지털_트윈국토_따라하기2.png|가운데|1163x1163픽셀]]
[[파일:디지털 트윈국토 따라하기2.png]]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55번째 줄: 52번째 줄:


[http://www.kssn.net 한국표준정보망 바로가기]
[http://www.kssn.net 한국표준정보망 바로가기]
 
[[파일:디지털_트윈국토_따라하기3.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디지털 트윈국토 따라하기3.png]]


=표준 개요=
=표준 개요=
146번째 줄: 142번째 줄:
}}
}}


[[파일:사업수행자의 표준화 업무 프로세스.png|center]]
[[파일:사업수행자의 표준화 업무 프로세스.png|center|750x750픽셀]]


{{List type middot|
{{List type middot|
161번째 줄: 157번째 줄: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표준 핵심 개념)''' 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 개념을 기술하고 공간정보 표준의 기본사항을 설명하는 표준으로서 공간정보 표준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표준이다.
*'''(표준 핵심 개념)''' 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 개념을 기술하고 공간정보 표준의 기본사항을 설명하는 표준으로서 공간정보 표준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표준이다.
*'''(표준의 목적)''' 공간정보(지리정보) 분야의 상호운용성을 위해서 통합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참조 모델을 정의 및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표준의 목적)''' 공간정보(지리정보) 분야의 상호운용성을 위해서 통합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참조 모델을 정의 및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표준의 내용)''' 공간정보 분야에서 ‘표준화’의 의미와 KS 지리정보 표준의 범위 등을 설명한다.  
*'''(표준의 내용)''' 공간정보 분야에서 ‘표준화’의 의미와 KS 지리정보 표준의 범위 등을 설명한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파일:19101-1구성.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19101-1구성.png]]
[[파일:도움말2.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도움말2.png]]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185번째 줄: 188번째 줄: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기술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벡터기하 및 위상은 최대 4차원이며, 최대 3개의 축(x,y,z)으로 구성되는 좌표 공간의 공간 객체의 연산(접근, 질의, 관리, 처리, 데이터 교환 등)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방식은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UML을 사용한다.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기술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벡터기하 및 위상은 최대 4차원이며, 최대 3개의 축(x,y,z)으로 구성되는 좌표 공간의 공간 객체의 연산(접근, 질의, 관리, 처리, 데이터 교환 등)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방식은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UML을 사용한다.
*'''(표준의 목적)''' 공간정보 분야에서 데이터 모델을 모델링 하는데 사용하는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통합 모델링 언어(Unified Modeling Language, 이하 UML)를 사용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표준의 목적)''' 공간정보 분야에서 데이터 모델을 모델링 하는데 사용하는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통합 모델링 언어(Unified Modeling Language, 이하 UML)를 사용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표준의 내용)''' UML 2를 사용하여 일반 규칙과 데이터 유형,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패키지의 구조, 코드목록을 작성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표준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표준의 내용)''' UML 2를 사용하여 일반 규칙과 데이터 유형,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패키지의 구조, 코드목록을 작성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표준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파일:19101-1구성.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19101-1구성.png]]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208번째 줄: 216번째 줄:
:* 데이터모델 설계서
:* 데이터모델 설계서
}}
}}
 
[[파일:표지_데이터모델설계서.png|가운데|522x522픽셀]]
[[파일:표지_데이터모델설계서.png]]


데이터 모델 설계서 더 알아보기
데이터 모델 설계서 더 알아보기
216번째 줄: 223번째 줄: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기술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벡터기하 및 위상은 최대 4차원이며, 최대 3개의 축(x,y,z)으로 구성되는 좌표 공간의 공간 객체의 연산(접근, 질의, 관리, 처리, 데이터 교환 등)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방식은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UML을 사용한다.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기술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벡터기하 및 위상은 최대 4차원이며, 최대 3개의 축(x,y,z)으로 구성되는 좌표 공간의 공간 객체의 연산(접근, 질의, 관리, 처리, 데이터 교환 등)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방식은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UML을 사용한다.
*'''(표준의 목적)''' 2차원, 3차원 지리·지형지물의 공간특성과 공간연산을 표준화함으로써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준이다.
*'''(표준의 목적)''' 2차원, 3차원 지리·지형지물의 공간특성과 공간연산을 표준화함으로써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준이다.
*'''(표준의 내용)''' UML 2를 사용하여 지리·지형지물의 공간특성 개념 스키마와 최대 3차원의 벡터 기하와 위상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공간 연산을 규정한다.
*'''(표준의 내용)''' UML 2를 사용하여 지리·지형지물의 공간특성 개념 스키마와 최대 3차원의 벡터 기하와 위상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공간 연산을 규정한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파일:19107구성.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19107구성.png]]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239번째 줄: 253번째 줄: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표준 핵심 개념)''' 실세계로부터 추상화한 지리정보의 시간적 특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표준 개념을 정의한다.
*'''(표준 핵심 개념)''' 실세계로부터 추상화한 지리정보의 시간적 특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표준 개념을 정의한다.
*'''(표준의 목적)''' 지리정보(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시스템 및 데이터 자체적으로 시간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표준이다.  
*'''(표준의 목적)''' 지리정보(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시스템 및 데이터 자체적으로 시간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표준이다.  
*'''(표준의 내용)''' 시간에 따른 지형지물의 속성, 지형지물의 연산, 지형지물의 관계를 정의한다.
*'''(표준의 내용)''' 시간에 따른 지형지물의 속성, 지형지물의 연산, 지형지물의 관계를 정의한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
}}
 
[[파일:19108구성.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19108구성.png]]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254번째 줄: 275번째 줄:
}}
}}


[[파일:시간속성.png|center]]
[[파일:시간속성.png|center|370x370픽셀]]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260번째 줄: 281번째 줄:
}}
}}


[[파일:시간작성예.png|center]]
[[파일:시간작성예.png|center|370x370픽셀]]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표준 핵심 개념)''' 하나 이상의 응용이 필요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 스키마를 작성하는 규칙을 정의하는 표준이다.
*'''(표준 핵심 개념)''' 하나 이상의 응용이 필요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 스키마를 작성하는 규칙을 정의하는 표준이다.
*'''(표준의 목적)'''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인간)이 모두가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접근 및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문서화하는 규칙에 대해 정의한 표준이다.
*'''(표준의 목적)'''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인간)이 모두가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접근 및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문서화하는 규칙에 대해 정의한 표준이다.
*'''(표준의 내용)''' 지형지물을 정의하는 원칙과 이에 기초한 응용 스키마의 생성 및 문서화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응용스키마에는 지형지물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지리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표준의 내용)''' 지형지물을 정의하는 원칙과 이에 기초한 응용 스키마의 생성 및 문서화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응용스키마에는 지형지물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지리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


[[파일:19109구성.png]]


[[파일:도움말4.png]]
 
}}
[[파일:19109구성.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도움말4.png|가운데|750x750픽셀]]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290번째 줄: 318번째 줄:
:* 데이터모델 설계서
:* 데이터모델 설계서
}}
}}
 
[[파일:표지_데이터모델설계서.png|가운데|522x522픽셀]]
[[파일:표지_데이터모델설계서.png]]


데이터 모델 설계서 더 알아보기
데이터 모델 설계서 더 알아보기
298번째 줄: 325번째 줄: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표준 핵심 개념)''' 지형지물(공간객체)의 유형, 연산, 속성, 연관관계를 정의한 목록을 사전의 작성 방법을 정의한다.
*'''(표준 핵심 개념)''' 지형지물(공간객체)의 유형, 연산, 속성, 연관관계를 정의한 목록을 사전의 작성 방법을 정의한다.
*'''(표준의 목적)''' 지형지물 유형을 지형지물 목록(feature catalogue)에 정리하며, 지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방법을 표준화하여 명시한다.
*'''(표준의 목적)''' 지형지물 유형을 지형지물 목록(feature catalogue)에 정리하며, 지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방법을 표준화하여 명시한다.
*'''(표준의 내용)''' 지형지물 목록 템플릿, 작성 예제, 작성 개념, 지형지물 목록 등록물 관리 방법을 명시한다.
*'''(표준의 내용)''' 지형지물 목록 템플릿, 작성 예제, 작성 개념, 지형지물 목록 등록물 관리 방법을 명시한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


[[파일:19110구성.png]]


[[파일:도움말5.png]]
}}
[[파일:19110구성.png|가운데|750x750픽셀]]
[[파일:도움말5.png|가운데|750x750픽셀]]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323번째 줄: 356번째 줄:
:* 지형지물 목록
:* 지형지물 목록
}}
}}
 
[[파일:표지_지형지물목록.png|가운데|522x522픽셀]]
[[파일:표지_지형지물목록.png]]


지형지물 목록 더 알아보기
지형지물 목록 더 알아보기

2022년 2월 18일 (금) 15:05 판

본 ‘표준’ 문서에서 설명하는 표준은 공간정보사업에서 활용하는 ‘공간정보표준’ 및 디지털 트윈국토 사업에서 활용하는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을 대상으로 한다. 표준의 기본 내용은 표준과 동일하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준원문의 문장과 구성을 변경하여 기술했다. 요약 및 생략된 부분은 표준원문을 참조하여야 한다. 참조 대상 표준은 아래와 같다.

  • (공간정보표준) 데이터 구축을 위해 적용이 필요한 기본 표준 9종이다.[1]
  • 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
  •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 스키마 언어
  •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
  • 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
  •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 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 KS X ISO 19115-1:2018 지리정보―메타데이터―제1부 : 기본원칙
  • KS X ISO 19131:2019 지리정보―데이터 제품 사양
  • KS X ISO 19157:2018 지리정보―데이터 품질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을 위해 적용이 필요한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5종이다.[2]
  • KS X 6807: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참조모델
  • KS X 6808-1: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데이터 모델
  • KS X 6808-2: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데이터 품질
  • KS X 6808-3: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메타데이터
  • KS X 6808-4: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제품사양
  • (표준 열람 방법) 표준의 원문은 국가공간정보포털 혹은 공간정보표준 통합지원시스템에서 볼 수 있으며 열람 방법은 아래와 같다.

⓵ 공간정보표준 통합지원시스템에서 표준 열람하기

공간정보표준 통합지원시스템 바로가기

디지털 트윈국토 따라하기1.png
도움말1.png

⓶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표준 열람하기

국가공간정보포털 바로가기

디지털 트윈국토 따라하기2.png
  • (구매 방법) 표준은 한국표준정보망에서 구입 가능하며 방법은 아래와 같다.

⓵ 한국표준정보망에서 표준 구매하기

한국표준정보망 바로가기

디지털 트윈국토 따라하기3.png

1 표준 개요

1.1 표준의 목적

공간정보는 지상·지하·수상·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이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필요한 속성 정보를 말한다. 최근 공간정보는 다른 데이터와 융·복합 활용의 기회와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표준은 증가하는 공간정보의 수요 속에서 공간정보와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의 융·복합을 활성화 시켜준다. 또한 표준은 고품질의 공간정보 데이터의 생산, 구축을 유도하며 데이터의 공유 및 데이터 상호 운용성을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준의 목적

1.2 표준관련 제도 및 법령

1.2.1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바로가기

제23조(표준 등의 준수의무) 관리기관의 장은 공간정보체계를 구축·관리·활용하거나 공간정보를 유통할 때에는 이 법에서 정하는 기술기준과 다른 법률에서 정하는 표준을 따라야 한다.

제28조(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

관리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이 생산 또는 관리하는 공간정보가 다른 기관이 생산 또는 관리하는 공간정보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21조에 따른 공간정보와 관련한 표준 또는 기술기준에 따라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관리하여야 한다.

관리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이 관리하고 있는 공간데이터베이스가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관리기관의 장은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관리 등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정보의 열람·복제 등 관련 자료의 제공 요청을 받을 때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그 요청을 따라야 한다.

관리기관의 장은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를 제외한 다른 관리기관으로부터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관리 등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정보의 열람·복제 등 관련 자료의 제공 요청을 받을 때에는 이에 협조할 수 있다.

제3항 및 제4항에 따라 제공받은 공간정보는 제1항에 따른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관리 외의 용도로 이용되어서는 아니된다.

제29조(중복투자의 방지)

관리기관의 장은 새로운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에 구축된 공간정보체계와 중복투자가 되지 아니하도록 사전에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검토하여야 한다.

 1. 구축하고자 하는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가 해당 기관 또는 다른 관리기관에 이미 구축되었는지 여부
 2. 해당 기관 또는 다른 관리기관에 이미 구축된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활용 가능 여부

관리기관의 장이 새로운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관리기관이 공공기관일 경우는 통보 전에 주무기관의 장과 미리 협의하여야 한다.  

국토교통부장관은 제2항에 따라 통보받은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계획이 중복투자에 해당된다고 판단하는 때에는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해당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하는 관리기관의 장에게 시정을 요구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장관은 관리기관의 장이 제1항에 따른 검토를 위하여 필요한 자료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를 제공하여야 한다.  

제3항에 따른 중복투자 여부의 판단에 필요한 기준은 대통령령으로 정할 수 있다.

1.2.2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시행령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시행령 바로가기

제19조(중복투자의 방지)

관리기관의 장(민간기관의 장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법 제29조 제2항에 따라 수립하는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명칭ㆍ종류 및 규모
 2.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려는 범위 또는 지역
 3. 법 제30조에 따른 공간정보에 관한 목록정보
 4.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방법 및 기간
 5. 사업비 및 재원조달 계획
 6. 사업 시행계획

법 제29조 제5항에 따른 중복투자 여부의 판단에 필요한 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사업의 유형 및 성격
 2. 다른 관리기관에서의 비슷한 종류의 사업추진 여부
 3. 법 제21조에 따른 공간정보 관련 표준 또는 기술기준의 준수 여부
 4. 다른 관리기관에서 구축한 사업의 활용 여부
 5. 법 제28조에 따른 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의 활용 여부

2 공간정보사업에서의 표준 적용 주체

  • (공간정보사업의 정의) 공간정보사업은 공간정보와 다른 정보·기술 등이 결합하여 새로운 자료·소프트웨어·서비스 등을 생산하는 사업을 말한다.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사업 또한 공간정보사업의 일종이다.
  • (표준 적용 주체) 공간정보사업에서 표준을 적용하는 주체는 아래와 같이 ‘사업담당자’와 ‘사업수행자’가 있다. 본 가이드는 ‘사업수행자’의 표준화 업무 수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업담당자 사업 수행시 적용 대상 표준을 결정하고, 표준 성과물을 검사한다.
사업을 관리하는 주체
사업수행자 표준을 적용하여 사업성과물을 구축하고, 표준 성과물을 작성한다.
사업을 수행하는 주체
  • (표준화 업무) 사업수행자는 사업수행 단계에 따라 아래와 같은 표준화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사업수행자의 표준화 업무 프로세스.png
  • 표준화 요구사항 확인 :
  • 표준 성과물 확인 :
  • 데이터 구축·설계 :
  • 표준 성과물 작성 :

3 공간정보표준 요약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사업에서 데이터 구축을 위해 적용이 필요한 기본 표준 9종에 대해서 사업수행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준원문의 문장과 구성을 변경하여 기술했다. 요약 및 생략된 부분은 표준원문을 참조하여야 한다.

3.1 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

  • (표준 핵심 개념) 공간정보의 상호운용성 개념을 기술하고 공간정보 표준의 기본사항을 설명하는 표준으로서 공간정보 표준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표준이다.


  • (표준의 목적) 공간정보(지리정보) 분야의 상호운용성을 위해서 통합적이고, 일관된 방식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참조 모델을 정의 및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 (표준의 내용) 공간정보 분야에서 ‘표준화’의 의미와 KS 지리정보 표준의 범위 등을 설명한다.


  •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19101-1구성.png
도움말2.png
  • (표준의 적용 방법)
  • 참조 모델은 공간정보 표준의 통일된 기초 개념이므로, 비전문가에게 표준을 교육하고 설명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개념적 모델링 시 부속서 E를 참고하여 표준화된 실세계 추상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 (관련 표준화 성과물) 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 표준은 별도의 표준화 성과물을 제작하지 않는다.

3.2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기술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벡터기하 및 위상은 최대 4차원이며, 최대 3개의 축(x,y,z)으로 구성되는 좌표 공간의 공간 객체의 연산(접근, 질의, 관리, 처리, 데이터 교환 등)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방식은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UML을 사용한다.


  • (표준의 목적) 공간정보 분야에서 데이터 모델을 모델링 하는데 사용하는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통합 모델링 언어(Unified Modeling Language, 이하 UML)를 사용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 (표준의 내용) UML 2를 사용하여 일반 규칙과 데이터 유형,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패키지의 구조, 코드목록을 작성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표준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19101-1구성.png
  • (표준의 적용 방법)
  • 신규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를 구축하는 사업에서 UML 2의 정적구조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모델과 서비스모델의 개념 스키마를 작성할 수 있다.
  • 부속서 F를 참고하여 데이터 모델, 서비스 모델을 설계 및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다.
  • (관련 표준화 성과물)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표준은 사업담당자가 ‘데이터 모델 설계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한다면, 표준을 적용하여 작성 후 제출해야 한다.
  • 데이터모델 설계서
표지 데이터모델설계서.png

데이터 모델 설계서 더 알아보기

3.3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

  •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기술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벡터기하 및 위상은 최대 4차원이며, 최대 3개의 축(x,y,z)으로 구성되는 좌표 공간의 공간 객체의 연산(접근, 질의, 관리, 처리, 데이터 교환 등)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방식은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UML을 사용한다.


  • (표준의 목적) 2차원, 3차원 지리·지형지물의 공간특성과 공간연산을 표준화함으로써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표준이다.


  • (표준의 내용) UML 2를 사용하여 지리·지형지물의 공간특성 개념 스키마와 최대 3차원의 벡터 기하와 위상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공간 연산을 규정한다.


  •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19107구성.png
  • (표준의 적용 방법)
  • 참조 모델은 공간정보 표준의 통일된 기초 개념이므로, 비전문가에게 표준을 교육하고 설명하는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개념적 모델링 시 부속서 E를 참고하여 표준화된 실세계 추상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 (관련 표준화 성과물)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은 사업담당자가 ‘데이터 모델 설계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한다면, 표준을 적용하여 작성 후 제출해야 한다.

3.4 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

  • (표준 핵심 개념) 실세계로부터 추상화한 지리정보의 시간적 특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표준 개념을 정의한다.


  • (표준의 목적) 지리정보(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시스템 및 데이터 자체적으로 시간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표준이다.


  • (표준의 내용) 시간에 따른 지형지물의 속성, 지형지물의 연산, 지형지물의 관계를 정의한다.


  •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19108구성.png
  • (표준의 적용 방법)
  • 우리나라에서는 달력(그레고리안 달력)과 세계협정시(UTC)를 사용하므로, 지형지물의 시간속성을 아래와 같이 활용한다.
시간속성.png
  • (관련 표준화 성과물) 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 표준은 사업담당자가 ‘메타데이터 명세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한다면, 날짜를 적는 항목내에 아래의 형식 중 하나로 작성 후 제출해야 한다.
시간작성예.png

3.5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 (표준 핵심 개념) 하나 이상의 응용이 필요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 스키마를 작성하는 규칙을 정의하는 표준이다.


  • (표준의 목적)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인간)이 모두가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접근 및 교환을 위한 데이터 구조를 문서화하는 규칙에 대해 정의한 표준이다.


  • (표준의 내용) 지형지물을 정의하는 원칙과 이에 기초한 응용 스키마의 생성 및 문서화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응용스키마에는 지형지물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지리 데이터 및 관련 데이터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19109구성.png
도움말4.png
  • (표준의 적용 방법)
  • 개념모델에서 응용 스키마를 생성할 때 참고하여 제작할 수 있다.
  • 다른 스키마와의 통합 및 연계에 대하여 기술할 때 참고하여 기술할 수 있다.
  • (관련 표준화 성과물)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표준은 사업담당자가 ‘데이터 모델 설계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한다면, 표준을 적용하여 작성 후 제출해야 한다.
  • 데이터모델 설계서
표지 데이터모델설계서.png

데이터 모델 설계서 더 알아보기

3.6 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 (표준 핵심 개념) 지형지물(공간객체)의 유형, 연산, 속성, 연관관계를 정의한 목록을 사전의 작성 방법을 정의한다.


  • (표준의 목적) 지형지물 유형을 지형지물 목록(feature catalogue)에 정리하며, 지리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방법을 표준화하여 명시한다.


  • (표준의 내용) 지형지물 목록 템플릿, 작성 예제, 작성 개념, 지형지물 목록 등록물 관리 방법을 명시한다.


  •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19110구성.png
도움말5.png
  • (표준의 적용 방법)
  • 응용 스키마 내의 지형지물을 지형지물 유형의 목록을 작성할 때 사용한다.
  • 기존 지형지물 목록을 표준에 부합하도록 수정하는데 활용한다.
  • (관련 표준화 성과물) 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표준은 사업담당자가 ‘지형지물 목록’을 제출할 것을 요청한다면, 표준을 적용하여 작성 후 제출해야 한다.
  • 지형지물 목록
표지 지형지물목록.png

지형지물 목록 더 알아보기

3.7 KS X ISO 19115-1:2018 지리정보―메타데이터―제1부 : 기본원칙

  • (표준 핵심 개념) 국토 위에
  • (표준의 목적) 국토의
  • (표준의 내용) 도로,
  • (표준의 구성) 상수도,
  • (표준의 적용) 상수도,
  • (관련 표준 성과물) 상수도,

3.8 KS X ISO 19131:2019 지리정보―데이터 제품 사양

  • (표준 핵심 개념) 국토 위에
  • (표준의 목적) 국토의
  • (표준의 내용) 도로,
  • (표준의 구성) 상수도,
  • (표준의 적용) 상수도,
  • (관련 표준 성과물) 상수도,

3.9 KS X ISO 19157:2018 지리정보―데이터 품질

  • (표준 핵심 개념) 국토 위에
  • (표준의 목적) 국토의
  • (표준의 내용) 도로,
  • (표준의 구성) 상수도,
  • (표준의 적용) 상수도,
  • (관련 표준 성과물) 상수도,

4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요약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사업에서 데이터 구축을 위해 적용이 필요한 기본 표준 9종에 대해서 사업수행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표준원문의 문장과 구성을 변경하여 기술했다. 요약 및 생략된 부분은 표준원문을 참조하여야 한다.

4.1 KS X ISO 19157:2018 지리정보―데이터 품질

  • (표준 핵심 개념) 국토 위에
  • (표준의 목적) 국토의
  • (표준의 내용) 도로,
  • (표준의 구성) 상수도,
  • (표준의 적용) 상수도,
  • (관련 표준 성과물) 상수도,
  1. ‘표준 적합성 검토의 일관성 확보를 위한 표준 준수 기준’을 참조하여 작성했다.
  2. 2022년 2월 현재 재정된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은 5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