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의 및 약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98번째 줄: 98번째 줄:


= 약어 =
= 약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0 auto; text-align: center;"
|-
!약어
!국문
!영문
|-
|DM
|데이터 모델
|Data Model
|-
|DPS
|데이터 제품 사양
|Data Product Specification
|-
|DQ
|데이터 품질
|Data Quality
|-
|FC
|지형지물 목록
|Feature Catalogue
|-
|GFM
|일반 지형지물 모델
|General Feature Model
|-
|GIS
|지리 정보 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IoT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
|ISO
|국제 표준 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LOD
|세밀도
|Level Of Detail
|-
|MD
|메타데이터
|Metadata
|-
|NDT
|디지털 트윈 국토
|National Digital Twin
|-
|OCL
|객체 제약 언어
|Object Constraint Language
|-
|OGC
|개방형 지리정보 컨소시엄
|Open Geospatial Consortium
|-
|REC
|권고사항
|Recommendation
|-
|REQ
|요구사항
|Requirement
|-
|RM
|참조 모델
|Reference Model
|-
|RM-ODP
|개방형 분산 시스템을 위한 참조 모델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Systems
|-
|SG
|표준 가이드
|Standard Guide
|-
|SWE
|센서 웹 지원
|Sensor Web Enablement
|-
|UML
|통합 모델링 언어
|Unified Modeling Language
|-
|WFS
|웹 지형지물 서비스
|Web Feature Service
|-
|WMS
|웹 맵 서비스
|Web Map Service
|-
|XML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eXtensible Markup Language
|}

2021년 10월 26일 (화) 23:58 판

1 용어 정의

1.1

1.1.1 개념적 모델 (conceptual model)

  • [정의] 논의 영역의 개념을 정의한 모델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5

1.1.2 개념적 스키마 (conceptual schema)

  • [정의] 개념적 모델의 형식 설명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6

1.1.3 개념적 스키마 언어 (conceptual schema language)

  • [정의] 개념적 스키마를 나타내기 위해 개념적 형식에 기초한 공식 언어
  • [예제] UML, EXPRESS, IDEF1X
  • [비고] 개념적 스키마 언어는 어휘이거나 그래픽이 될 수 있음. 여러 개의 개념적 스키마 언어는 같은 개념적 형식에 기초함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7

1.2

1.2.1 논의의 영역 (universe of discourse)

  • [정의] 모든 관심 있는 것을 포함하는 실세계나 가상세계에 대한 견해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38

1.3

1.3.1 데이터셋 (dataset)

  • [정의] 식별 가능한 데이터의 모음
  • [출처] ISO 19115 1:2014, 정의 4.3

1.3.2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

  • [정의] 물리 공간의 논의 영역(4.1.20)과 동일한 디지털 공간을 구축하고, 다양한 기술을 통해 물리 공간과 디지털공간을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공간을 통해 물리 공간을 모니터링, 분석, 시뮬레이션 또는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물리 공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또는 시스템
  • [비고] 디지털 트윈의 구체적인 정의는 다양한 문헌을 통해 정의되어 오고 있으며, 각 응용 또는 도메인에서 바라보는 관점 또는 강조하고 싶은 개념에 따라 일부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음
  • [비고] 디지털 트윈 개념을 구현하여 서비스 또는 시스템화 함에 있어, 디지털 트윈의 목적 및 요구사항에 따라 물리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상호연계주기(실시간, 수시, 정시 등), 디지털 공간의 세밀도 및 정확도 등의 수준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

1.3.3 디지털 트윈 국토 (digital twin for land)

  • [정의] 디지털 트윈의 개념에 기반하여 물리 공간의 우리나라 국토를 디지털화 한 것
  • [비고] 물리적 국토 공간과 연결되어 상호작용하고, 물리적 국토의 다양한 상황을 모니터링, 분석, 시뮬레이션 또는 예측함으로써 물리 공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1.3.4 디지털 트윈 국토 데이터 (data of digital twin for land)

  • [정의] 디지털 트윈 국토를 위해 사용되는 공간정보 유형을 총칭하는 것
  • [비고] 디지털 트윈 국토의 목적 및 범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공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
  • [예제] 2D 지도, 3D 건물, 도로, 인프라, 유틸리티 등

1.3.5 디지털 트윈 국토 참조 모델 (reference model of digital twin for land)

  • [정의] 디지털 트윈 국토(4.1.2)의 공통 개념적 구조 및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개념적 참조 모델

1.3.6 등록소 (registry)

  • [정의] 등록물을 관리하는 정보 시스템
  • [출처] KS X ISO 19135:2006, 정의 4.1.13

1.4

1.4.1 스키마 (schema)

  • [정의] 모델의 형식적 기술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34

1.5

1.5.1 온톨로지 (ontology)

  • [정의] 의미를 명시적으로 만들고, 현상과 연관성을 설명하는 정의와 논리를 포함하여 기존의 언어로 논의 영역의 현상을 형식적으로 나타내는 것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26

1.5.2 응용 (application)

  • [정의] 사용자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데이터의 조작과 처리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1

1.5.3 응용 스키마 (application schema)

  • [정의] 하나 이상의 응용에서 요구하는 데이터의 개념적 스키마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2

1.6

1.6.1 지형지물 (feature)

  • [정의] 실세계 현상의 추상화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11

1.6.2 지형지물 목록 (feature catalogue)

  • [정의] 지형지물 유형, 지형지물 속성 및 여러 가지 그래픽 데이터 집합 간의 지형지물 연관, 적용 가능한 지형지물 연산에 대한 정의와 설명을 담은 목록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13

1.6.3 지리 정보 (geographic information)

  • [정의] 지구상의 위치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현상에 대한 정보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18

1.6.4 지리 정보 서비스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 [정의] 사용자에게 지리 정보를 변형, 관리, 제공해 주는 서비스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19

1.6.5 지리 정보 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정의] 지구상의 위치와 관련된 현상 정보를 다루는 정보 시스템
  • [출처] KS X ISO 19101-1, 정의 4.1.20

1.6.6 정보 시스템 (information system)

  • [정의] 정보를 제공 및 배포하는 인간, 기술, 재원 등의 관련 조직 소스가 포함된 정보 처리 시스템
  • [출처] ISO/IEC 2382–1:1993

1.7

1.7.1 품질 (quality)

  • [정의] 요구사항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는 제품의 고유한 특징
  • [비고] 용어 “품질”은 불량, 양호 또는 우수함 등의 형용사와 함께 사용할 수 있음
  • [비고] “고유한”은 “할당됨”과는 반대로, 특히 영구적인 특성으로서 무언가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함
  • [출처] ISO 9000:2005, 정의 3.1.1


2 약어

약어 국문 영문
DM 데이터 모델 Data Model
DPS 데이터 제품 사양 Data Product Specification
DQ 데이터 품질 Data Quality
FC 지형지물 목록 Feature Catalogue
GFM 일반 지형지물 모델 General Feature Model
GIS 지리 정보 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oT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SO 국제 표준 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LOD 세밀도 Level Of Detail
MD 메타데이터 Metadata
NDT 디지털 트윈 국토 National Digital Twin
OCL 객체 제약 언어 Object Constraint Language
OGC 개방형 지리정보 컨소시엄 Open Geospatial Consortium
REC 권고사항 Recommendation
REQ 요구사항 Requirement
RM 참조 모델 Reference Model
RM-ODP 개방형 분산 시스템을 위한 참조 모델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Systems
SG 표준 가이드 Standard Guide
SWE 센서 웹 지원 Sensor Web Enablement
UML 통합 모델링 언어 Unified Modeling Language
WFS 웹 지형지물 서비스 Web Feature Service
WMS 웹 맵 서비스 Web Map Service
XML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 eXtensible Markup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