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활용하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데이터 구축) 태그: 수동 되돌리기 |
(→데이터 구축)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 ||
'''공간정보 표준''' | '''공간정보 표준''' | ||
[[ | [[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 |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 ||
[[ | [[KS X 6807: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참조모델|KS X 6807: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참조모델]] | ||
'''⓶ 데이터 구조 설계''' :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사업의 정보연계, 서비스 등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구조와 기능을 설계하고 계획한다. | '''⓶ 데이터 구조 설계''' :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사업의 정보연계, 서비스 등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구조와 기능을 설계하고 계획한다.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 ||
'''공간정보 표준''' | '''공간정보 표준''' | ||
[[ |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 스키마 언어|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 스키마 언어]] | ||
[[ |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 | ||
[[ | [[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 | ||
[[ |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 ||
- 표준화 성과물 | - 표준화 성과물 | ||
데이터 모델 설계서 |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 ||
[[ | [[KS X 6808-1: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데이터 모델|KS X 6808-1: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데이터 모델]] | ||
- 표준화 성과물 | - 표준화 성과물 | ||
[[ | [[건물 데이터 모델 설계서|건물 데이터 모델 설계서]] | ||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 | [[건물 데이터 모델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건물 데이터 모델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⓹ 데이터 품질 검증''' : 구축한 데이터를 검수한다. 품질 측정 기준에 따라 구축한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의 품질을 검증한다. | '''⓹ 데이터 품질 검증''' : 구축한 데이터를 검수한다. 품질 측정 기준에 따라 구축한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의 품질을 검증한다. |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 ||
'''공간정보 표준''' | '''공간정보 표준''' | ||
[[ | [[KS X ISO 19157:2018 지리정보―데이터 품질|KS X ISO 19157:2018 지리정보―데이터 품질]] | ||
- 표준화 성과물 | - 표준화 성과물 | ||
데이터 품질 보고서 |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 ||
[[ | [[KS X 6808-2: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데이터 품질|KS X 6808-2: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데이터 품질]] | ||
- 표준화 성과물 | - 표준화 성과물 | ||
[[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 ||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 | [[건물 데이터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건물 데이터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⓺ 표준화 성과물 제출''' : 사업담당자가 요청한 표준화 성과물을 제출한다. 관련 표준과 관련 표준화 성과물은 아래와 같다. | '''⓺ 표준화 성과물 제출''' : 사업담당자가 요청한 표준화 성과물을 제출한다. 관련 표준과 관련 표준화 성과물은 아래와 같다. |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 ||
'''공간정보 표준''' | '''공간정보 표준''' | ||
[[ | [[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 ||
[[ | [[KS X ISO 19131:2019 지리정보―데이터 제품 사양|KS X ISO 19131:2019 지리정보―데이터 제품 사양]] | ||
[[ | [[KS X ISO 19115-1:2018 지리정보―메타데이터―제1부 : 기본원칙|KS X ISO 19115-1:2018 지리정보―메타데이터―제1부 : 기본원칙]] | ||
- 표준화 성과물 | - 표준화 성과물 | ||
지형지물 목록 | |||
데이터 제품 사양서 | |||
메타데이터 명세서 |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 ||
[[ | [[KS X 6808-4: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제품사양|KS X 6808-4: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제품사양]] | ||
[[ | [[KS X 6808-3: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메타데이터|KS X 6808-3: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메타데이터]] | ||
- 표준화 성과물 | - 표준화 성과물 | ||
[[ | [[건물 데이터 제품사양서|건물 데이터 제품사양서]] | ||
[[ | [[건물 메타데이터 명세서|건물 메타데이터 명세서]] | ||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 | [[건물 제품사양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건물 제품사양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 | [[건물 메타데이터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건물 메타데이터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⓻ 데이터 유지 관리 및 운영''' : 구축한 데이터를 타 서비스 및 데이터와 연계하고, 배포하며 지속적인 운영과 데이터를 유지관리 한다. | '''⓻ 데이터 유지 관리 및 운영''' : 구축한 데이터를 타 서비스 및 데이터와 연계하고, 배포하며 지속적인 운영과 데이터를 유지관리 한다. | ||
=표준화 성과물 작성하기= | =표준화 성과물 작성하기= | ||
* | *제품사양서 | ||
*[[건물 | *[[건물 데이터 제품사양서|건물 데이터 제품사양서]] | ||
* | *메타데이터 명세서 | ||
*[[ | *[[건물 메타데이터 명세서|건물 메타데이터 명세서]] | ||
* | *데이터품질 보고서 | ||
*[[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 ||
* | *데이터모델 설계서 | ||
*[[건물 | *[[건물 데이터 모델 설계서|건물 데이터 모델 설계서]] | ||
* | *지형지물 목록 |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작성하기=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작성하기= | ||
*[[ | *[[건물 제품사양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건물 제품사양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 | *[[건물 메타데이터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건물 메타데이터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건물 데이터 | *[[건물 데이터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건물 데이터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
*[[ | *[[건물 데이터 모델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건물 데이터 모델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
2022년 3월 14일 (월) 12:05 기준 최신판
1 데이터 구축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 구축 절차는 관련 기초데이터 수집부터 데이터의 운영 및 유지관리까지 아래 그림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⓵ 자료 취득 :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을 위해 관련 기초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 하는 과정이다. 사업수행자는 발주처의 표준화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업담당자가 적용을 요청한 표준의 기본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공간정보 표준 KS X ISO 19101-1:2018 지리정보―참조모델―제1부 : 기본사항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KS X 6807: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참조모델
⓶ 데이터 구조 설계 :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사업의 정보연계, 서비스 등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구조와 기능을 설계하고 계획한다.
⓷ 기존공간정보 연계 : 정제한 자료들과 디지털 트윈국토 구축 데이터를 연계하는 과정이다. 도로명주소, 수치지형도, DEM, DSM 등의 자료에서 건물의 주소, 대지의 높이, 지번 등 건물과 관련된 정보와 연계한다.
⓸ 신규공간정보 구축 : CityGML 3.0의 LoD구분에 따라 설계도, 항공사진, 드론촬영 영상 등 신규데이터와 기 구축된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공간정보를 새로 구축한다.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공간정보 표준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 스키마 언어 KS X ISO 19107:2014 지리정보―공간객체 스키마 표준 KS X ISO 19108:2019 지리정보―시간 스키마 KS X ISO 19109:2018 지리정보―응용스키마 규칙 - 표준화 성과물 데이터 모델 설계서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KS X 6808-1: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데이터 모델 - 표준화 성과물 건물 데이터 모델 설계서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건물 데이터 모델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⓹ 데이터 품질 검증 : 구축한 데이터를 검수한다. 품질 측정 기준에 따라 구축한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의 품질을 검증한다.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공간정보 표준 KS X ISO 19157:2018 지리정보―데이터 품질 - 표준화 성과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KS X 6808-2: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데이터 품질 - 표준화 성과물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건물 데이터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⓺ 표준화 성과물 제출 : 사업담당자가 요청한 표준화 성과물을 제출한다. 관련 표준과 관련 표준화 성과물은 아래와 같다.
- 관련 표준 및 표준화 성과물 :
공간정보 표준 KS X ISO 19110:2018 지리정보―지형지물 목록작성 방법론 KS X ISO 19131:2019 지리정보―데이터 제품 사양 KS X ISO 19115-1:2018 지리정보―메타데이터―제1부 : 기본원칙 - 표준화 성과물 지형지물 목록 데이터 제품 사양서 메타데이터 명세서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KS X 6808-4: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제품사양 KS X 6808-3:2022 지리정보―디지털 트윈국토―건물 메타데이터 - 표준화 성과물 건물 데이터 제품사양서 건물 메타데이터 명세서 -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건물 제품사양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건물 메타데이터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⓻ 데이터 유지 관리 및 운영 : 구축한 데이터를 타 서비스 및 데이터와 연계하고, 배포하며 지속적인 운영과 데이터를 유지관리 한다.
2 표준화 성과물 작성하기
- 제품사양서
- 건물 데이터 제품사양서
- 메타데이터 명세서
- 건물 메타데이터 명세서
- 데이터품질 보고서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 데이터모델 설계서
- 건물 데이터 모델 설계서
- 지형지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