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span style="font-size: 30px; font-weight: bold; >용어 정의</span> | <span style="font-size: 30px; font-weight: bold; >용어 정의</span> | ||
------ | |||
<span id="unique_25d_data" style="font-size: 20px; font-family: NanumGothicExtraBold; font-weight: bold; color: #96be25;">2.5D 데이터 (2.5D data)</span> | <span id="unique_25d_data" style="font-size: 20px; font-family: NanumGothicExtraBold; font-weight: bold; color: #96be25;">2.5D 데이터 (2.5D data)</span> | ||
* '''[정의]''' 각(x, y) 위치에 대해 오직 하나의 z가 있는 제약조건으로 표현되는 3차원 공간의 지형지물의 기하 | * '''[정의]''' 각(x, y) 위치에 대해 오직 하나의 z가 있는 제약조건으로 표현되는 3차원 공간의 지형지물의 기하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정의]''' 유형 [[#도메인 (= 정의역 ; domain)|도메인]]의 요소 | * '''[정의]''' 유형 [[#도메인 (= 정의역 ; domain)|도메인]]의 요소 | ||
* '''[출처]''' ISO/IEC 19501:2005, 0000_5 | * '''[출처]''' ISO/IEC 19501:2005, 0000_5 | ||
Image 1 | |||
[[파일:1_1_디지털 트윈개념.png|500x400px|디지털 트윈 개념]] | |||
Image 2 | |||
[[파일:1_1_디지털 트윈개념.png|border|500x400px|디지털 트윈 개념|center]] | |||
Image 3 | |||
[[파일:1_1_디지털 트윈개념.png|500x400px|디지털 트윈 개념|center]] | |||
Image` 4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0 auto; text-align: center;" | |||
|+여기에 제목 | |||
|[[파일:1_1_디지털 트윈개념.png|500x400px|디지털 트윈 개념]] | |||
|- | |||
|새로운 행에 추가 | |||
|} | |||
Image 5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margin:0 auto; text-align: center;" | |||
|+여기에 제목 | |||
|[[파일:3장_건물_제품사양서_그림5.png|디지털 트윈 개념]] | |||
|- | |||
|새로운 행에 추가 | |||
|} | |||
__NOTOC__ | __NOTOC__ |
2022년 1월 27일 (목) 16:13 기준 최신판
용어 정의
2.5D 데이터 (2.5D data)
- [정의] 각(x, y) 위치에 대해 오직 하나의 z가 있는 제약조건으로 표현되는 3차원 공간의 지형지물의 기하
3D 데이터 (3D data)
- [정의]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되는 지형지물의 기하
간접 평가 방법 (indirect evaluation method)
- [정의] 외부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세트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
- [출처] KS X ISO 19157, 정의 4.17
값 (value)
- [정의] 유형 도메인의 요소
- [출처] ISO/IEC 19501:2005, 0000_5
Image 2
Image 3
Image` 4
새로운 행에 추가 |
Image 5
새로운 행에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