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 스키마 언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새 문서: ==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 {{List type hollow square|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표지_19103_2.png|가운데|354x354픽셀]]
==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
==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
{{List type hollow square|
{{List type hollow square|

2022년 3월 15일 (화) 11:19 기준 최신판

표지 19103 2.png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 (표준 핵심 개념) 지리·지형지물의 기하와 위상과 같은 공간적 특성을 기술한 표준이다. 이 표준에서 다루는 벡터기하 및 위상은 최대 4차원이며, 최대 3개의 축(x,y,z)으로 구성되는 좌표 공간의 공간 객체의 연산(접근, 질의, 관리, 처리, 데이터 교환 등)을 기술하고 있다. 기술방식은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UML을 사용한다.


  • (표준의 목적) 공간정보 분야에서 데이터 모델을 모델링 하는데 사용하는 개념적 스키마 언어인 통합 모델링 언어(Unified Modeling Language, 이하 UML)를 사용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 (표준의 내용) UML 2를 사용하여 일반 규칙과 데이터 유형, 관계를 정의하는 방법, 패키지의 구조, 코드목록을 작성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표준화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 (표준의 구성)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표준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19101-1구성.png
  • (표준의 적용 방법)
  • 신규 데이터베이스 및 서비스를 구축하는 사업에서 UML 2의 정적구조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모델과 서비스모델의 개념 스키마를 작성할 수 있다.
  • 부속서 F를 참고하여 데이터 모델, 서비스 모델을 설계 및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한다.
  • (관련 표준화 성과물) KS X ISO 19103:2018 지리정보―개념적 스키마 언어 표준은 사업담당자가 ‘데이터 모델 설계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한다면, 표준을 적용하여 작성 후 제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