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다른 뜻}} {{인터넷}} {{영역망}}300px|섬네일|[[라우터를 통해 연결된 인터넷을 시각화한 그림.]]'''인터넷'''({{llang|e...)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다른 뜻}} {{인터넷}} {{영역망}}[[파일:Internet map 1024.jpg|300px|섬네일|[[라우터]]를 통해 연결된 인터넷을 시각화한 그림.]]'''인터넷'''({{llang|en|Internet}}, {{문화어|인터네트}})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o5yBl59wRbY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될까요?]. 공학 코너. 2019년 8월 12일.</ref> | {{다른 뜻}} {{인터넷}} {{영역망}}[[파일:Internet map 1024.jpg|300px|섬네일|[[라우터]]를 통해 연결된 인터넷을 시각화한 그림.]]'''인터넷'''({{llang|en|Internet}}, {{문화어|인터네트}})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o5yBl59wRbY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될까요?]. 공학 코너. 2019년 8월 12일.</ref> | ||
인터넷이란 이름은 [[1973년]]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를 정립한 [[빈튼 서프]]와 [[로버트 칸|밥 간]]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구현하여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 안에 연결(International Network)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를 줄여 인터넷(Internet)이라고 처음 | 인터넷이란 이름은 [[1973년]]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를 정립한 [[빈튼 서프]]와 [[로버트 칸|밥 간]]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구현하여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 안에 연결(International Network)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를 줄여 <mark>인터넷(Internet)이라고 처음 명명</mark>하였던 데 어원을 두고 있다. 이후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면서 컴퓨터가 [[서버]]와 [[클라이언트 (컴퓨팅)|클라이언트]]로 연결되어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TCP/IP]]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 받게 되었다.<ref>[https://naver.com docId=537068&mobile&categoryId=1642 (네이버 지식백과)인터넷]</ref> | ||
==역사== | ==역사== | ||
===인터넷의 역사=== | ===인터넷의 역사=== | ||
60번째 줄: | 60번째 줄: | ||
#사진 테스트 | #사진 테스트 | ||
[[파일:테스트.png|섬네일|213x213픽셀|sfwik 사진 테스트]] | [[파일:테스트.png|섬네일|213x213픽셀|sfwik 사진 테스트]] | ||
[[파일:테스트.png|200픽셀|섬네일|왼쪽|여기에 설명]] | |||
[[파일:테스트.png|300픽셀|섬네일|가운데|이거는 가운데에]] | |||
중복 주석 테스트1<ref name="ref test">테스트 1, 2가 나와야 한다</ref>과 중복 주석 테스트2<ref name="ref test" /> | |||
아래에 분류선 | |||
---- | |||
위에 분류선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2021년 10월 29일 (금) 13:59 기준 최신판
인터넷(틀:Llang, 틀:문화어)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1]
인터넷이란 이름은 1973년 TCP/IP를 정립한 빈튼 서프와 밥 간이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구현하여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 안에 연결(International Network)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를 줄여 인터넷(Internet)이라고 처음 명명하였던 데 어원을 두고 있다. 이후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면서 컴퓨터가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연결되어 TCP/IP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 받게 되었다.[2]
1 역사
1.1 인터넷의 역사
틀:본문 인터넷의 유래는 1960~1970년대 미국 국방부 산하의 고등 연구국(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ARPA)의 연구용 네트워크가 시초이며, 군사용 네트워크는 밀네트(MILNET)로 발전되었다. 동서냉전이 한창이던 때 미국 국방부 고등계획국에서는 핵전쟁 등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방식보다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방식이 매우 견고하고 생존성이 높았다. 최초의 2 노드간의 상호연결은 1969년 10월 29일 UCLA와 SRI연구소간에 연결되었다.[3] 이 통신망을 ARPANET이라고 하였으며 현재의 인터넷망의 시초이다.[4]
현재는 전 세계 146개국 5,000여 컴퓨터 네트워크와 900만대 이상의 호스트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다.
1.2 대한민국의 인터넷 역사
한국 최초의 인터넷은 1982년 5월 15일 전길남 박사가 주도하여 서울대학교와 한국전자기술연구소(현 ETRI) 사이에 구축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5] 한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 1993년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실시하였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PC와 초고속 인터넷이 빠르게 보급되었고 이후 국민 거의 대부분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였는데, 김대중 정부는 과감한 초고속 인터넷망 투자로, 미국이나 일본보다 앞선 인터넷 문화를 만들었다.[6] 김대중 정부는 1998년 6월에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했고, 4년 만에 대한민국은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가 1000만 명을 넘어섰었다.[7]
1.3 인터넷 이용자 수
2002년 2월에 전 세계 인터넷 이용자의 수는 5억 4420만 명에 이르렀는데, 북미 지역이 1억 8123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유럽 지역으로 1억 7135만 명에 달했으며,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은 이용률이 매우 낮았다. 2001년에 대한민국의 인구 100명당 인터넷 이용자의 수는 51명으로 세계 5위 수준이었는데, 2000년에는 세계 6위였으나 미국과 캐나다를 추월하고 싱가포르에는 추월 당해서 5위가 되었고, 이에 아이슬란드(68명), 싱가포르(61명), 노르웨이(60명), 스웨덴(52명) 등은 인구 100명당 인터넷 이용자의 수가 대한민국보다 많았고 미국(50명), 일본(45명) 등은 대한민국보다 적었다. 2003년 6월에 대한민국의 인터넷 이용자수는 2861만 1000명이고, 2006년 12월에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는 1401만 1419명이었다.[8]
2 특징
- 인터넷은 사람들의 '선한 측면'과 '작은 노력'을 컨텐츠로 집약하여 요약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는 기술이다.
- 인터넷은 지금까지는 사회의 소수 계층에게만 가능했던 행동(표현, 사회 공헌 등)과 전시를 모든 사람에게 개방하는 기술이다.
- 인터넷은 올바른 정보활용을 통해 개인의 고유한 특성(개성, 지향성)을 발견해 내고 증폭시키는 데에 매우 유효적절한 기술이다.
- 인터넷은 사회적 선택의 폭(정보검색)을 넓혀 주는 기술이다.
3 주요 국가별 속도
틀:본문 2009년 기준, 세계 10대 인터넷 다운로드 전송 속도는 다음과 같다.
국가명 | 속도(단위:Mb/초) | 국가명 | 속도(단위:Mb/초) |
---|---|---|---|
틀:국기 | 20.97 | 틀:국기 | 12.75 |
틀:국기 | 15.78 | 틀:국기 | 12.46 |
틀:국기 | 14.96 | 틀:국기 | 11.71 |
틀:국기 | 13.12 | 틀:국기 | 11.65 |
틀:국기 | 12.99 | 틀:국기 | 9.59 |
4 인터넷의 영향
인터넷의 영향은 다음과 같다.[9]
- 경제적 효율성 제고
- (1)기업측면 : 비용절감 효과
- 기업의 마케팅 지출 중 온라인 마케팅 비율은 15%
-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는 기업의 마케팅 및 물류 비용 절감
- ※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 8조 달러 (B2B, B2C 포함)
- (1)기업측면 : 비용절감 효과
- 고용 창출 효과
- (1)일반적으로 인터넷이 고용을 감소시키거나 중립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고용창출 효과가 존재
- 프랑스의 경우 인터넷이 일자리 50만개를 없애고 120만개를 만들어 일자리 70만개 창출
- (1)일반적으로 인터넷이 고용을 감소시키거나 중립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고용창출 효과가 존재
- 외부 사이트 테스트
- 사진 테스트
중복 주석 테스트1[10]과 중복 주석 테스트2[10]
아래에 분류선
위에 분류선
5 같이 보기
6 각주
- ↑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될까요?. 공학 코너. 2019년 8월 12일.
- ↑ docId=537068&mobile&categoryId=1642 (네이버 지식백과)인터넷
- ↑ 1969년 12월 UCLA, SRI연구소, UCSB, UTAH간의 4 노드간 상호연결이 연결되었고 1970년 6월에는 미 서부에 SDC, RAND가 추가되고 동부의 MIT, BBN, Havard와의 연결이 완성되었다.
- ↑ 인터넷의 시작에 대해 많은 오해가 있는데, ARPANET이 군용 통신망이라는 것이다. ARPANET은 연구 통신망(연구'용' 통신망이 아님)이며, 군용 통신망으로 사용된 적은 없다. 군용 통신망인 MILNET은 별도로 구축 운용되었다. 또한 미국 국방부 산하기관의 컴퓨터들을 상호 연결한 것이 아니라, 연구기관들의 컴퓨터들을 상호 연결하였다. 국방 관련 통신망이나 은행 통신망처럼 고도의 보안을 유지하여야 하는 통신망은 물리적으로도 완전히 분리되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한세희 기자, "우리나라 최초 인터넷 연결, 1982년 5월", 전자신문, 2012년 9월 17일
- ↑ 김명희. 첫 온라인 게임 넥슨 `바람의 나라` 상용서비스 (1996년 11월). 전자신문. 2012년 9월 17일.
- ↑ 권상희. IT오피니언 리더 "차기 대통령에 바란다". 전자신문. 2012년 9월 20일.
- ↑ 틀: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2
- ↑ McKinsey, Internet matters: The Net's sweeping impact on growth, jobs, and prosperity
- ↑ 10.0 10.1 테스트 1, 2가 나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