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의 및 약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2번째 줄: | 2번째 줄: | ||
== ㄷ == | == ㄷ == | ||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 ===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 ||
[비고] 디지털 트윈의 구체적인 정의는 다양한 문헌을 통해 정의되어 오고 있으며, 각 응용 또는 도메인에서 바라보는 관점 또는 강조하고 싶은 개념에 따라 일부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음 | * 물리 공간의 논의 영역(4.1.20)과 동일한 디지털 공간을 구축하고, 다양한 기술을 통해 물리 공간과 디지털공간을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공간을 통해 물리 공간을 모니터링, 분석, 시뮬레이션 또는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물리 공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또는 시스템 | ||
* '''[비고]''' 디지털 트윈의 구체적인 정의는 다양한 문헌을 통해 정의되어 오고 있으며, 각 응용 또는 도메인에서 바라보는 관점 또는 강조하고 싶은 개념에 따라 일부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음 | |||
[비고] 디지털 트윈 개념을 구현하여 서비스 또는 시스템화 함에 있어, 디지털 트윈의 목적 및 요구사항에 따라 물리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상호연계주기(실시간, 수시, 정시 등), 디지털 공간의 세밀도 및 정확도 등의 수준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 | * '''[비고]''' 디지털 트윈 개념을 구현하여 서비스 또는 시스템화 함에 있어, 디지털 트윈의 목적 및 요구사항에 따라 물리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상호연계주기(실시간, 수시, 정시 등), 디지털 공간의 세밀도 및 정확도 등의 수준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 | ||
=== 디지털 트윈 국토(Digital Twin for Land) === | === 디지털 트윈 국토(Digital Twin for Land) === |
2021년 10월 21일 (목) 15:48 판
1 용어 및 정의
1.1 ㄷ
1.1.1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물리 공간의 논의 영역(4.1.20)과 동일한 디지털 공간을 구축하고, 다양한 기술을 통해 물리 공간과 디지털공간을 연결함으로써, 디지털 공간을 통해 물리 공간을 모니터링, 분석, 시뮬레이션 또는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물리 공간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또는 시스템
- [비고] 디지털 트윈의 구체적인 정의는 다양한 문헌을 통해 정의되어 오고 있으며, 각 응용 또는 도메인에서 바라보는 관점 또는 강조하고 싶은 개념에 따라 일부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음
- [비고] 디지털 트윈 개념을 구현하여 서비스 또는 시스템화 함에 있어, 디지털 트윈의 목적 및 요구사항에 따라 물리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상호연계주기(실시간, 수시, 정시 등), 디지털 공간의 세밀도 및 정확도 등의 수준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
1.1.2 디지털 트윈 국토(Digital Twin for Land)
디지털 트윈의 개념에 기반하여 물리 공간의 우리나라 국토를 디지털화 한 것
[비고] 물리적 국토 공간과 연결되어 상호작용하고, 물리적 국토의 다양한 상황을 모니터링, 분석, 시뮬레이션 또는 예측함으로써 물리 공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1.1.3 디지털 트윈 국토 데이터 (Data of Digital Twin for Land)
디지털 트윈 국토를 위해 사용되는 공간정보 유형을 총칭하는 것
[비고] 디지털 트윈 국토의 목적 및 범위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공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음 예) 2D 지도, 3D 건물, 도로, 인프라, 유틸리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