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 활용 가이드
14번째 줄: 14번째 줄:
==작성방법==
==작성방법==
  ⓵ 양식 다운받기
  ⓵ 양식 다운받기
[[파일:제품사양서따라하기1.png]]
[[파일:품질보고서따라하기1.png]]


  ⓶ 양식 이해하고 표지 작성하기
  ⓶ 양식 이해하고 표지 작성하기
[[파일:제품사양서따라하기2.png]]
[[파일:품질보고서따라하기2.png]]


  ⓷ '1.품질 개요' 작성하기
  ⓷ '1.품질 개요' 작성하기
[[파일:제품사양서따라하기3.png]]
[[파일:품질보고서따라하기3.png]]


  ⓸ '2.측정 정보 (복수 기재)' 작성하기
  ⓸ '2.측정 정보 (복수 기재)' 작성하기
[[파일:제품사양서따라하기4.png]]
[[파일:품질보고서따라하기4.png]]
 
[[파일:품질보고서따라하기5.png]]


== 작성방법 따라하기 ==
== 작성방법 따라하기 ==

2022년 3월 7일 (월) 17:53 판

표지 건물데이터품질보고서.png

1 건물 데이터 제품사양서

  • (표준화 성과물의 개요)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는 구축한 건물 데이터의 품질 검사 기준과 방법, 결과가 기술된 문서를 말한다.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는 사업을 통해 제작된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 중 "건물" 데이터의 품질 관련 정보를 기술한 것이다. 생산자는 구축한 데이터의 품질 측정 요소와 검사 방법, 결과를 첨부하여 데이터의 품질 확보가 가능하고, 사용자는 데이터의 품질 수준을 전체적으로 확인 가능하다.


  • (표준화 성과물 구성 및 내용)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구성과 구성별 내용은 아래와 같다.


건물데이터품질보고서 구성.png

2 작성방법

⓵ 양식 다운받기

품질보고서따라하기1.png

⓶ 양식 이해하고 표지 작성하기

품질보고서따라하기2.png

⓷ '1.품질 개요' 작성하기

품질보고서따라하기3.png

⓸ '2.측정 정보 (복수 기재)' 작성하기

품질보고서따라하기4.png 품질보고서따라하기5.png

3 작성방법 따라하기

(1) 양식 다운받기

⓵ ‘표준 성과물 양식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성과물 양식 문서함을 확인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png
⓶ ‘건물 제품사양서(양식)을 다운로드 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2.png
  • 표준화 성과물 양식 폴더의 ‘산출물_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양식)’을 다운로드 한다.
⓷ ‘건물 제품사양서(양식)’을 확인한다.
  • 건물 제품사양서는 표지부, 내용부, 첨부로 구성되어 있다.
  • 표지부에는 건물 제품사양서의 작성 날짜, 사업명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3.png
  • 내용부에는 ‘1.품질 개요’, ‘2.측정 정보’를 입력하며, 작성예시는 파란색 글씨로 작성되어 있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4.png
  • 참조부는 내용부의 입력 값의 참조 코드리스트가 제공된다. 해당 리스트 중 적절한 값을 선택하여 입력한다. 참조할 코드리스트는 각 행의 설명 칸에 빨간색 글씨로 설명되어 있다.
⓸ ‘사업명’과 ‘작성 날짜’를 작성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5.png
  • 사업명 입력 칸에 사업명을 입력한다.
  • 작성 날짜 입력 칸에 메타데이터 명세서 작성 날짜를 입력한다.

(2) ‘1.품질 개요’ 작성하기

⓵ ‘범위’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6.png
  • 품질 보고서가 기술하는 데이터의 유형을 기술한다.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에 첨부된 ‘적용범위 코드’를 참고하여 작성한다.
  • 건물 데이터세트 전체의 품질 보고서일 경우, ‘데이터세트’로 작성한다.
⓶ ‘품질 측정 요소 적용 여부’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7.png
  •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의 ‘품질 측정 요소’는 14가지 종류가 있다.
  • ‘품질 측정 요소에 관한 정보는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에 첨부된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품질 측정 기준’을 통해 참고 가능하다.
  • 14종의 품질 측정 요소 중 데이터 품질을 검수를 위해 적용할 측정 요소를 선정하여, 표시한다.
  •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품질 측정 기준’은 아래와 같다.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품질 측정 기준
측정 식별자 품질 요소 세부요소 세세부요소 품질 측정 기준 평가 범위
001 완전성 초과 대상객체 초과 대상객체 초과 항목의 비율 공간객체 ~ 데이터세트
002 누락 대상객체 누락 대상객체 누락 항목의 비율 공간객체 ~ 데이터세트
003 논리적 일관성 개념 일관성 건물 데이터 모델 스키마 준수 데이터 모델 스키마 준수 여부 데이터세트
004 위상 일관성 기하 및 위상 제약 조건 기하 및 위상 제약조건을 준수하지 않는 항목 수 공간객체
005 위치 정확성 절대적(외부) 정확성 수평 위치정보 정확성 면적 측정의 제곱평균 오류 공간객체
006 수직 위치정보 정확성 수직 위치 정확도의 제곱 평균 오류 공간객체
007 기하학적 충실도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의 기하학 형태(형상, 유형 등) 충실도 여부 공간객체
008 상대적(내부)정확성 건물 구성요소의 위치 정확성 건물 구성요소의 상대 위치 정확도 여부 공간객체
009 주제 정확성 분류 정확성 시맨틱 항목 분류 정확성 기하와 시맨틱 항목의 오분류 비율 공간객체
010 속성 정확성 속성 내용 불일치 부정확한 속성값의 비율 공간객체
011 속성 내용 누락 유의 수준 내 기하와 속성정보 간의 불확실성 공간객체
012 시간 품질 시간 측정의 정확성 변화 이력 정보 정확성 유의 수준 내 시간 값과 층적 값 간의 불확실성 공간객체
013 시간 일관성 변화 이력 정보 관리 변화에 따라 시간 속성의 기록 및 관리에 대한 일관성 여부 공간객체
014 시간 유효성 시간 속성 값 유효성 정의된 규칙의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의 유효성 여부 공간객체

(3) ‘2.측정 정보’ 작성하기

⓵ 복수의 측정 정보를 기재한다.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2.측정 정보’는 복수로 작성할 수 있다.
  • 앞서 14종의 품질 측정 요소 중 적용으로 표시한 측정 요소의 수만큼 ‘2.측정 정보’ 입력 테이블을 복사한다.
  • 하나의 건물 제품사양서를 제작할 경우, 제품의 모든 부분에 적용됨을 기술한다.
  • “이 부분에서는 이 데이터 제품 사양의 모든 부분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범위를 규정한다.”의 사용을 권고 한다.
⓶ ‘측정 식별자’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8.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앞서 14종의 품질 측정 요소 중 적용으로 표시한 측정 요소의 ‘측정 식별자’를 입력한다.
  • ‘측정 식별자’를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입력한다.
⓷ ‘이름’을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9.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품질 측정 기준’을 참고하여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세세부요소명’을 입력한다.
⓸ ‘별명’을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0.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측정 기준을 설명하는 이름을 자유롭게 기재한다.
⓹ ‘데이터 품질 요소’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1.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품질 측정 기준’을 참고하여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품질 요소명’을 입력한다.
⓺ ‘데이터 품질 하위 요소’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2.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품질 측정 기준’을 참고하여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세부요소명’을 입력한다.
⓻ ‘데이터 품질 기본 측정’을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3.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품질 기본 측정’을 참고하여 ‘데이터 품질 요소’에 알맞은 ‘품질 기본 측정’을 입력한다.
⓼ ‘정의’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4.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품질 기본 측정’을 참고하여 ‘품질 기본 측정’에 알맞은 ‘정의’를 입력한다.
⓽ ‘설명’을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5.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품질 기본 측정’을 설명하는 글을 자유기재한다.
⓾ ‘평가 범위’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6.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디지털 트윈국토 건물 품질 측정 기준’을 참고하여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평가 범위’를 입력한다.
⑪ ‘보고 범위’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7.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평가 범위’와 동일한 값을 입력한다.
⑫ ‘매개변수’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8.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데이터 품질의 파라미터를 입력한다.
  • 해당 사항이 없을 경우 “해당사항 없음”을 기재한다.
⑬ ‘데이터 품질 값’을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19.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품질 기본 측정’을 참고하여 ‘품질 기본 측정’에 알맞은 ‘품질값 유형’을 입력한다.
⑭ ‘데이터 품질 값 구조’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20.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데이터 품질의 파라미터의 구조를 입력한다.
  • 해당 사항이 없을 경우 “해당사항 없음”을 기재한다.
⑮ ‘참조 정보’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21.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품질 측정요소 작성을 위해 외부 참조 자료 정보를 입력한다.
  • 해당 사항이 없을 경우 “해당사항 없음”을 기재한다.
⑯ ‘예시’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22.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첨부된 ‘품질 기본 측정’을 참고하여 ‘품질 기본 측정’에 알맞은 ‘예시’를 입력한다.
⑰ ‘결과범위’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23.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1.품질 개요’의 ‘범위’와 동일한 값을 입력한다.
⑱ ‘적합여부’를 입력한다.
3장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 그림24.png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의 복수로 작성되는 모든 측정 정보에 작성한다.
  • 해당 품질 측정 요소의 품질 검수 결과, 데이터에 품질 적합 여부를 표시한다.
  • 입력값은 적합할 경우 “Y”, 부족합할 경우 “N”을 입력한다.


4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4.1 개요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는 표준의 ‘부속서 A’와 본문의 ‘적합성’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성과물의 표준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는 데이터를 구축하고 품질을 검수하고 산출물을 작성한 사업수행자가 작성하여 보다 명확한 사실에 근거한 표준 적용 여부를 검증한다.

적합성 체크리스트는 관련 산출물과 구축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실대로 작성하여야 하며, 이는 사업담당자의 ‘표준 적합성 사후검토’ 업무에 활용된다.

4.2 구성

  • 기반 요구사항 확인 :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가 데이터 품질 표준에 기반하여 작성되었는지 검토
  •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 건물 데이터의 품질 측정 정보의 필수 정보 검토
  • 데이터 품질 평가 요구사항 확인 : 건물 데이터의 품질 평가 정보의 필수 정보 검토
  • 데이터 품질 결과 요구사항 확인 : 건물 데이터의 품질 결과 정보의 필수 정보 검토

4.3 작성방법 따라하기

(1) 체크리스트 다운받기

⓵ ‘표준 성과물 양식 다운로드’를 클릭하여, 성과물 양식 문서함을 확인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png
⓶ ‘건물 제품사양 표준 체크리스트’을 다운로드 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2.png
  • 표준화 성과물 양식 폴더의 ‘체크리스트_건물 데이터 품질’을 다운로드 한다.
⓷ ‘건물 품질 표준 체크리스트’를 확인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3.png
  • ‘건물 품질 표준 체크리스트’는 총 네 개의 대분류 시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 ‘건물 품질 표준 체크리스트’는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를 참고하여 각 문항에 대하여 “예”, “아니오”, “판정불가” 중 해당하는 결과에 표시 한다.

(2) ‘A.1 기반 요구사항 확인’ 검토하기

⓵ ‘A.1 기반 요구사항 확인’ 1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4.png
  • 건물 품질 보고를 제공된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양식)’에 작성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건물 품질 보고를 제공된 ‘건물 데이터 품질 보고서(양식)’에 작성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⓶ ‘A.1 기반 요구사항 확인’ 2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5.png
  • ‘범위’를 작성하였다면, ‘예’에 표시 한다.
  • ‘범위’를 작성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⓷ ‘A.1 기반 요구사항 확인’ 3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6.png
  • ‘범위’를 ‘적용범위 코드’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면, ‘예’에 표시 한다.
  • ‘범위’를 ‘적용범위 코드’를 참고하여 작성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⓸ ‘A.1 기반 요구사항 확인’ 4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7.png
  • ‘품질 측정 요소 적용 여부’에 적용여부를 1개 이상 표시하였다면, ‘예’에 표시 한다.
  • ‘품질 측정 요소 적용 여부’에 적용여부를 표시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3)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검토하기

⓵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1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8.png
  • ‘2.측정 정보’에 입력값이 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2.측정 정보’에 입력값이 없으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⓶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2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9.png
  • ‘1.품질 개요’의 ‘품질 측정 요소 적용 여부’에 표시한 품질 요소의 수만큼 ‘2.측정 정보’를 작성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1.품질 개요’의 ‘품질 측정 요소 적용 여부’에 표시한 품질 요소의 수만큼 ‘2.측정 정보’를 작성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⓷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3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0.png
  • ‘1.품질 개요’의 ‘품질 측정 요소 적용 여부’에 표시한 품질 요소의 측정 식별자를 모두 작성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1.품질 개요’의 ‘품질 측정 요소 적용 여부’에 표시한 품질 요소의 측정 식별자를 모두 작성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⓸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4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1.png
  •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세세부요소명’을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측정 식별에 해당하는 ‘세세부요소명’을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⓹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5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2.png
  •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품질 요소명’을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측정 식별에 해당하는 데이터 ‘품질 요소명’을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⓺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6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3.png
  •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세부요소명’을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측정 식별에 해당하는 데이터 ‘세부요소명’을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⓻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7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4.png
  •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품질 기본 측정’을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측정 식별에 해당하는 ‘품질 기본 측정’을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⓼ ‘A.2 데이터 품질 측정 요구사항 확인’ 8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5.png
  •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정의’를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측정 식별에 해당하는 ‘정의’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4) ‘A.3 데이터 품질 평가 요구사항 확인’ 검토하기

⓵ ‘A.3 데이터 품질 평가 요구사항 확인’ 1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6.png
  •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평가 범위’를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측정 식별에 해당하는 데이터 ‘평가 범위’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⓶ ‘A.3 데이터 품질 평가 요구사항 확인’ 2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7.png
  • ‘평가 범위’와 동일한 ‘보고 범위’를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평가 범위’와 동일한 ‘보고 범위’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보고 범위’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⓷ ‘A.3 데이터 품질 평가 요구사항 확인’ 3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8.png
  • ‘매개변수’를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매개변수’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⓸ ‘A.3 데이터 품질 평가 요구사항 확인’ 4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19.png
  • 측정 식별자에 해당하는 ‘품질 값 유형’을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측정 식별에 해당하는 데이터 ‘품질 값 유형’을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⓹ ‘A.3 데이터 품질 평가 요구사항 확인’ 5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20.png
  • ‘적합 여부’에 평가 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Y” 혹은 “N”의 값을 입력했다면, ‘예’에 표시 한다.
  • ‘적합 여부’에 평가 결과에 따라 부적절하게 “Y” 혹은 “N”의 값을 입력했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적합 여부’에 “Y” 혹은 “N”이외의 값을 입력했을 경우, ’아니오‘에 표시 한다.
  • ‘적합 여부’에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판정 불가‘에 표시 한다.

(5) ‘A.4 데이터 품질 결과 요구사항 확인’ 검토하기

⓵ ‘A.4 데이터 품질 결과 요구사항 확인’ 1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21.png
  • ‘1.품질 개요’의 ‘범위’와 동일한 ‘결과 범위’를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1.품질 개요’의 ‘범위’와 동일한 ‘결과 범위’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결과 범위’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
⓶ ‘A.4 데이터 품질 결과 요구사항 확인’ 2번 문항을 검토한다.
3장 건물 품질 표준 적합성 체크리스트 그림22.png
  • ‘1.품질 개요’의 ‘범위’와 동일한 ‘결과 범위’를 입력했으면, ‘예’에 표시 한다.
  • ‘1.품질 개요’의 ‘범위’와 동일한 ‘결과 범위’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아니오’에 표시 한다.
  • ‘결과 범위’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아니오’에 표시 한다.
  • 판정이 불가할 경우, ‘판정불가’에 표시 한다.